맨위로가기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블루 라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블루 라인은 일본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를 운행하는 지하철 노선으로, 총 40.4km의 노선 거리를 가지며, 1972년 가미오오카역과 이세자키초자마치역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 연장을 거쳐 현재의 쇼난다이역과 아자미노역을 잇는 노선으로 완성되었다. 1호선과 3호선을 직통 운행하며, 쾌속 열차와 보통 열차가 운행된다. 2007년 1인 승무를 시작했으며, 2015년부터 쾌속 운행이 시작되었다. 현재 아자미노역에서 신유리가오카역까지 연장 계획이 있으며, 2030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노선 -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그린 라인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그린 라인은 2001년에 착공하여 2008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리니어 모터 구동 방식을 사용하여 소음과 진동이 적고 급경사에 강하며, 10개의 역을 운영하고 2022년부터 6량 편성 운행을 시작했다.
  • 1972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산요 신칸센
    산요 신칸센은 신오사카역에서 하카타역까지를 잇는 JR 서일본의 신칸센 노선으로, 1972년 개통되어 1987년 JR 서일본에 계승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차량과 여러 등급의 열차가 운행된다.
  • 1972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소부 쾌속선
    소부 쾌속선은 JR 동일본의 도쿄-지바 간 쾌속 전철 노선으로, 다양한 운행 형태와 여러 노선과의 직결 운행을 제공하며 E217계, E235-1000번대 전동차 및 특급 열차가 운행되고 2022년 통근 쾌속이 폐지되었다.
  • 요코하마시의 철도 - 요코하마 고속 철도
    요코하마 고속철도는 미나토미라이21선 운영을 목적으로 설립된 철도 사업자로, 미나토미라이선과 고도모노쿠니선을 운영하며 여러 노선과의 직통 운전을 통해 요코하마와 도쿄 도심을 연결하고, 자체 차량기지 없이 Y000계와 Y500계 전동차를 운영하고 있지만 부채 부담으로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요코하마시의 철도 -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은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를 운행하는 지하철 시스템으로, 블루 라인과 그린 라인의 두 개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블루 라인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2019년 10월 블루라인의 3000R 시리즈 열차
2019년 10월 블루라인의 3000R 시리즈 열차
노선 번호1호선 (쇼난다이 – 간나이), 3호선 (간나이 – 아자미노)
노선 기호B
로고Yokohama Municipal Subway Blue Line symbol.svg
종류도시 철도
체계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상태운영 중
소재지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후지사와시
기점쇼난다이역
종점아자미노역
역 수32
소유자요코하마시 교통국
운영자요코하마시 교통국
사용 차량3000 시리즈, 4000 시리즈
노선 길이40.4 km (1호선: 19.7 km, 3호선: 20.7 km)
선로 수2
신호 방식ATC, ATO
최고 속도80 km/h
전보 약호불명
일일 승객 수513,897 (FY2014)
노선도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노선도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노선도
차량 기지
위치가미나가야, 닛파
기타 정보
비비드 블루맨셀값 3PB 3.5/11
역 목록 및 연결 노선
B01쇼난다이역
연결 노선오다큐: 에노시마선,
B02시모이이다역
B03다치바역
B04나카다역
B05오도리바역
B06도쓰카역
B07마이오카역
B08시모나가야역
B09가미나가야역
시설가미나가야 차량기지
B10고난추오역
B11가미오오카역
B12고묘지역
B13마키타역
B14요시노초역
B15반도바시역
B16이세자키초자마치역
B17간나이역
B18사쿠라기초역
연결 노선, 도요코선 (-2004)
B19다카시마초역
연결 노선도요코선 (-2004)
B20요코하마역
B21미쓰자와시모초역
B22미쓰자와카미초역
B23가타쿠라초역
B24기시네코엔역
B25신요코하마역
B26기타신요코하마역
B27닛파역
시설신니파 차량기지
B28나카마치다이역
B29센터미나미역
B30센터키타역
B31나카가와역
B32아자미노역
연결 노선도큐: 덴엔토시선
미래 계획
확장 계획신유리가오카역까지 연장 계획

2. 역사

1965년 요코하마시 6대 사업의 일환으로 계획된 요코하마시 최초의 시영 지하철 노선이다. 1972년 12월 16일, 1호선 가미오오카 - 이세자키초자마치 구간이 처음 개통된 것을 시작으로, 단계적인 연장을 거듭했다. 1976년에는 1호선과 3호선 일부 구간이 추가 개통되어 상호 직통 운행을 시작했으며, 이후 여러 차례 연장을 통해 노선망을 넓혀 나갔다.

1999년 8월 29일, 쇼난다이역까지 전 구간이 개통되어 현재의 노선 형태(쇼난다이 - 아자미노)가 완성되었다. 2006년 6월 15일에는 노선 애칭을 '''블루 라인'''으로 결정했으며, 2007년에는 전 역에 스크린도어 설치를 완료하고 1인 승무를 개시하여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였다.

2015년 7월 18일부터는 낮 시간대에 쾌속 운행을 시작하여 소요 시간을 단축했다.[5] 현재 아자미노에서 가와사키시신유리가오카역까지 노선을 연장하는 사업이 추진 중이며, 2030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6][7]

2. 1. 초기 계획 및 건설

1965년 (쇼와 40년) 10월, 요코하마시 6대 사업의 일환으로 고속 철도 건설 계획이 발표되었다. 이 계획은 "요코하마시의 골격을 이루는 교통 수단", "교외부(당시 미나미구 남부, 현재의 고난구도쓰카구 서부, 현재의 이즈미구)와 구 시가지의 연결 강화", "고호쿠 뉴타운 개발 촉진", "요코하마시 내 교통 기관 수송력 증강", "요코하마시 중심부(사쿠라기초·간나이 주변)의 도시 재개발 중추" 역할을 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3]

요코하마시 6대 사업 구상에서 공표된 고속 철도 노선 계획 (1965년 10월)


초기 구상안에서는 다음 두 노선이 제시되었으며, 신요코하마역고호쿠 뉴타운을 시 중심부 및 쓰루미구와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3]

# 에다 부근 - 쓰나시마 부근 - 쓰루미 부근[13]

# 쓰나시마 부근 - 신요코하마 부근 - 요코하마 부근 - 사쿠라기초·간나이 부근 - 도쓰카 부근 - 초고 부근[13]

1966년(쇼와 41년), 요코하마시 도시 교통 심의회는 위 계획안과 거의 동일한 루트를 답신했다.[13] 이어 검토된 "요코하마를 중심으로 하는 여객 수송력의 정비 증강 계획 시안"에서는 가나가와신마치 부근에서 시영 지하철과 게이큐 본선을 연결하는 방안이 포함되었다.[13] 같은 해, 당초 안보다 범위를 넓힌 다음 4개 노선 계획안이 가결되었다.[13]

1970년(쇼와 45년), 1호선(미나토초 - 가미오오카)과 3호선(기타코초 - 야마시타초)의 각 구간이 긴급 정비 구간으로 지정되었고, 간나이가 우선 정비 구간의 분기점으로 정해졌다.[13] 1호선과 3호선 건설은 1965년에 시작되어, 1972년 9월 16일 1호선의 5.2km 구간(가미오오카 - 이세자키초자마치)이 처음 개통되었다.

그러나 1975년(쇼와 50년), 항만 업계는 지하철 공사로 인한 간나이 주변 도로의 교통 체증이 항만 컨테이너 수송에 지장을 준다며 착공 연기를 요청했다.[13] 시는 이를 받아들여 1989년(헤이세이 원년)까지 계획을 연기하고, 같은 6대 사업으로 계획된 요코하마 베이 브리지와 수도고속 가나가와 1호 요코하네선 완공을 기다리기로 했다.[13]

1976년 9월 4일, 1호선은 양방향으로 연장되었다. 남서쪽으로는 가미오오카에서 가미나가야까지 2.8km(2개 역)가, 북쪽으로는 이세자키초자마치에서 간나이까지 0.7km(1개 역)가 연장되었다. 같은 날, 3호선의 2.8km 구간(간나이 - 요코하마)이 개통되어 1호선과 3호선 간 직결 운행이 시작되었다. 당시 간나이는 동일 플랫폼에서 1호선(도쓰카 방면)과 3호선(요코하마 방면) 환승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으나, 한쪽만 사용하게 되었다.[13]

이후 노선은 단계적으로 연장되었다.

건설 과정에서 여러 계획 변경이 있었다. 미나토미라이 21 지구 재개발 사업이 진행되면서, 시영 지하철 1호선의 간나이 - 야마시타초 미개통 구간이 미나토미라이선 계획 구간과 겹치게 되어 해당 구간 계획은 폐지되었다.[13]

1호선의 도쓰카 서쪽 연장 구간은 당초 초고 가이도(가나가와현도 22호) 지하를 따라 초고 부근까지 계획되었다. 당시 오다큐 전철 오다큐 에노시마선 초고역의 이용객이 많고 우등 열차가 정차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초고 주변의 반대 운동으로 계획이 변경되어, 인접한 쇼난다이로 연장되었다. 다치바와 시모이다 사이에 역을 신설할 계획도 있었으나 취소되었고, 예정 부지는 현재 이즈미 변전소와 공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3호선의 미쓰자와시모초 - 기시네코엔 구간은 당초 민유지 아래를 직선으로 통과할 예정이었으나, 요코하마 시전 노선과 유사한 미쓰자와카미초 - 가타쿠라초 루트로 변경되어 도로 아래를 최대한 통과하도록 우회 건설되었다. 표면적으로는 소음 우려에 대한 주민 배려였지만, 로쿠카쿠바시 상점가의 반대[14]나 병행하는 도큐 도요코선을 운영하는 도큐 전철의 영향이라는 시각도 있다.[15] 부득이하게 민유지 아래를 통과하는 구간은 소음 대책으로 바라스트 궤도를 채택했다.

1985년 신요코하마까지 개통되었지만, 도카이도 신칸센 환승객은 예상보다 많지 않았다. 시즈오카현 동중부 등 비교적 가까운 지역에서의 환승은 늘었으나, 하마마쓰역 이서(특히 주쿄권, 간사이권) 승객은 요코하마 시내까지 유효한 승차권으로 추가 운임 없이 이용 가능한 요코하마선을 선호했기 때문이다.

3호선 등 후기 개통 구간 터널에는 NATM 공법이 많이 사용되어 천장이 높은 곳이 많다. 후지사와시 통과 구간은 민유지 통과를 피하기 위해 상단에 블루라인 본선, 하단에 소테쓰 이즈미노선이 지나는 2단식 터널로 건설되었다. 쇼난다이는 소테쓰 이즈미노선의 구라미·히라쓰카 방면 연장 계획을 고려하여, 오다큐 에노시마선 쇼난다이역 서쪽 지하 3층에 소테쓰선, 동쪽 지하 2층에 블루라인이 배치되었다.

고호쿠 뉴타운 계획 진전과 4호선(그린라인) 계획 재검토로 4호선과의 환승역은 센터키타와 센터미나미로 결정되었고, 4호선은 남쪽의 나카야마역으로 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3호선이 대신 모토이시카와 방면으로 연장하게 되었다. 종점 위치를 두고 도큐 측은 다마프라자를 강하게 희망했으나, 요코하마시는 시 예산으로 도쿄 방면 접근성을 높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이유 등으로 1977년 개업한 아자미노를 고수했다. 1981년 주민들이 다마프라자역 접속을 요구하는 1만 명 서명을 제출했지만 시의회는 만장일치로 기각했다.[16] 결국 3호선 종점은 아자미노가 되었으나, 개통 후 오랫동안 도큐 덴엔토시선 급행 등이 정차하지 않아 환승에 불편이 있었다. 요코하마시의 요청으로 2002년 3월 28일 다이어 개정 후 급행(이후 준급 포함)이 정차하게 되어 개선되었다.

신하 - 아자미노 구간은 지하 고속 철도가 아닌 '''뉴타운 철도'''로서 보조금을 받아 건설되었다.

2. 2. 확장 및 변화

1965년 요코하마시 6대 사업의 일환으로 1호선과 3호선 건설이 시작되었다. 노선은 단계적으로 확장되었으며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

  • '''1972년 12월 16일''': 1호선 가미오오카역 - 이세자키초자마치역 구간(5.2km)이 처음으로 개통되었다.
  • '''1976년 9월 4일''': 1호선이 남쪽으로 가미나가야역까지(2.8km, 2개 역), 북쪽으로 간나이역까지(0.7km, 1개 역) 연장되었다. 같은 날, 3호선 간나이역 - 요코하마역 구간(2.8km)이 개통되어 1호선과 3호선 간의 직결 운행이 시작되었다.
  • '''1985년 3월 14일''': 1호선 마이오카역 - 가미나가야역 구간(2km, 2개 역)과 3호선 요코하마역 - 신요코하마역 구간(7km, 5개 역)이 동시에 개통되었다.
  • '''1987년 5월 24일''': 1호선 도쓰카역 연장을 위해 임시역이 먼저 운영을 시작했다. 이후 '''1989년 8월 27일'''에 도쓰카역까지 정식으로 연장(1.7km)되었다.
  • '''1993년 3월 18일''': 3호선 신요코하마역 - 아자미노역 구간(10.9km)이 개통되었다.
  • '''1999년 8월 29일''': 1호선 쇼난다이역 - 도쓰카역 구간(7.4km)이 개통되어 현재의 노선 형태가 완성되었다. 이날 신요코하마키타역은 기타신요코하마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2006년 6월 15일, 요코하마시 교통국은 노선의 애칭을 공모하여 '''블루 라인'''으로 결정하였다. 2007년 12월 15일에는 전 역에 스크린도어 설치를 완료하고 1인 승무를 개시하였다.

2015년 7월부터는 낮 시간대에 일부 역만 정차하는 '''쾌속'''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 쾌속 열차는 시간당 약 2편 운행하며, 전 구간 운행 시간을 기존 완행 열차의 1시간 7분에서 최대 10분 단축시켰다.[5] 2017년 3월 4일부터 쾌속 열차의 운행 간격은 20분으로 줄었다.

2020년 1월 21일, 요코하마시가와사키시는 블루 라인을 아자미노역에서 오다큐 오다와라선신유리가오카역까지 연장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 연장 구간은 총 길이 6.5km이며, 4개의 역이 신설될 예정이다.[6][7] 연장 공사는 2030년까지 완료될 것으로 예상된다.[6][7] 같은 해 6월, 교통국은 연장 프로젝트의 환경 영향 평가 절차를 시작했다.[8]

2. 3. 연표

3. 노선 정보

이 노선은 후지사와시 북부의 쇼난다이역에서 출발하여 요코하마시 서부(이즈미구 남부, 토츠카역, 코난구 중심부, 카미오카역, 미나미구 중심부)를 횡단하고, 요코하마 도심인 이세자키초, 칸나이, 사쿠라기초, 요코하마역을 거쳐 요코하마시 북부를 종단하여 아자미노역에 이른다. 1호선과 3호선을 합한 노선 연장은 40.4km로, 일본 지하철 노선 중 도영 지하철 오에도선에 이어 두 번째로 길다.

도쿄 지하철의 긴자선마루노우치선과 마찬가지로 간토 지방에서는 드물게 제3궤조 방식을 채택한 노선이다. 1972년 이 노선 개통 이후, 일본에서 새로 건설된 지하철 노선 중 제3궤조 방식을 채택한 사례는 이 노선이 마지막이다. (기존 노선의 연장이나 직결 노선 제외)

1972년 개통 당시부터 수도권에서는 드물게 자동 개찰기를 모든 역에 도입했으며, 2000년대에는 전 역에 홈 도어 설치를 완료했다. 이는 제3궤조 방식으로 인한 감전 위험과 선로 추락 시의 위험성을 고려한 조치이다. 보안 장치로는 개통 초기부터 자동 열차 제어 장치(ATC)를 사용하고 있다. 개통 전인 1972년에는 자동 열차 운전 장치(ATO)를 이용한 자동 운전 시험 주행도 실시되었으나(1000형 차량에 히타치 제작소 제작 ATO 탑재[12]), 당시 실용화되지는 못했다.

1965년 10월 발표된 요코하마시 6대 사업의 일환으로 계획되었다. 이 사업에서 이 노선은 "요코하마시의 골격을 이루는 교통 수단", "교외부(현 코난구, 이즈미구)와 구 시가지 연결 강화", "코호쿠 뉴타운 개발 촉진", "시내 교통기관 수송력 증강", "요코하마 도심부(사쿠라기초·칸나이 주변) 도시 재개발의 중추"로 위치 지어졌다. 이로 인해 요코하마 도심을 지나 카나가와구 중앙부, 신요코하마 도심, 코호쿠 뉴타운을 거쳐 아오바구아자미노역까지 요코하마시 내부를 "ㄱ자형"으로 관통하는 방사형 노선이 되었다. 이 노선 개통으로 요코하마 도심과 아자미노역/코호쿠 뉴타운 간, 또는 아자미노역/코호쿠 뉴타운/신요코하마역과 카미오카역/토츠카역 간, 토츠카역에서 쵸고가이도를 경유한 쇼난다이역까지의 이동 등 여러 경로의 편리성이 향상되었으며, 요코하마시 내 인구 분포의 균형과 시역 일체화에도 기여했다.

가나가와현 동부에 역을 둔 여러 철도 회사 노선과의 접속역이 많아 환승 기능도 중요하다. JR 동일본, JR 도카이, 사가미 철도, 게이힌 급행 전철, 토큐 전철, 요코하마 고속 철도, 오다큐 전철의 노선과 접속한다. JR 노선으로는 토카이도선, 요코스카선, 쇼난 신주쿠 라인, 게이힌 토호쿠선, 요코하마선, 토카이도 신칸센으로 환승할 수 있다.

요코하마시 교통국은 관광객을 위해 "미나토 부라리 티켓"을 판매하고 있다. 이는 요코하마역, 타카시마초역, 사쿠라기초역, 칸나이역, 이세자키쵸자마치역, 반토바시역, 요시노쵸역에서의 1일 승차권과 요코하마 도심부 관광지를 순환하는 아카이쿠츠호 버스의 1일 승차권 기능을 겸한다. 또한, 신칸센 이용객을 위해 신요코하마역에서도 승하차가 가능한 "미나토 부라리 티켓 와이드"도 제공하고 있다.

노선 정보
항목내용
노선 거리40.4km (지상 구간: 7.7km 포함)
* 1호선: 칸나이역 - 쇼난다이역 구간 19.7km
* 3호선: 칸나이역 - 아자미노역 구간 20.7km
궤간1435mm
역 수32개 (기점 및 종점역 포함)
* 1호선: 17개
* 3호선: 16개
(모두 칸나이역 포함)
복선 구간전 구간
전철화 구간전 구간 (직류 750 V 제3궤조 집전 방식)
지상 구간쇼난다이 - 타치바 구간 일부, 카미나가야 전후, 키타신요코하마 - 아자미노 구간 일부
폐색 방식차내 신호 방식
영업 최고 속도80km/h[11]
편성 차량 수6량 (1984년 - )
차량 사업소카미나가야 검차구, 신하네 검차구



=== 계획 및 건설 과정 ===

1965년 초기 구상안에서는 에다 부근 - 쓰나시마역 부근 - 쓰루미역 부근 루트와, 쓰나시마 부근 - 신요코하마역 부근 - 요코하마역 부근 - 사쿠라기초역·간나이역 부근 - 도쓰카역 부근 - 초고역 부근의 2개 노선 계획안이 제시되었다. 이는 현재의 고호쿠구미도리구쓰루미구를 연결하여 신요코하마역·고호쿠 뉴타운과 시 중심부를 잇는 것을 목표로 했다.[13] 1966년 요코하마시 도시 교통 심의회에서 이 계획안이 거의 그대로 답신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계획이 추진되었다.[13]

이후 "요코하마를 중심으로 하는 여객 수송력의 정비 증강 계획 시안"에서는 가나가와신마치역 부근에서 시영 지하철과 게이큐 본선을 연결하는 방안이 포함되었고[13], 계획 범위가 확장되어 4개의 루트가 계획되었으며, 같은 해 1966년에 이 계획안이 가결되었다.[13]



1970년까지 긴급 정비 구간으로 1호선(미나토초 - 가미오카역)과 3호선(기타코초 - 야마시타초)의 일부가 지정되었고, 간나이역이 우선 정비 구간의 분기점으로 설정되었다.[13] 그러나 1975년, 항만 업계에서 지하철 공사로 인한 간나이 주변 도로의 교통 체증이 항만 컨테이너 수송에 지장을 준다며 착공 연기를 요청했다.[13] 1976년 9월 4일 이세자키초자초역 - 요코하마역 구간이 개통되었고, 같은 날 개업한 지하철 간나이역은 1호선(도쓰카 방면)과 3호선(요코하마 방면)을 동일 플랫폼에서 환승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나 한쪽만 사용하게 되었다.[13]

시는 항만 업계의 요청을 받아들여 1989년까지 계획을 연기하고, 요코하마 베이 브리지와 수도고속 가나가와 1호 요코하네선의 완공을 기다리기로 했다.[13] 그 사이 미나토미라이 21 지구 재개발 사업이 진행되면서, 시영 지하철 1호선의 간나이역 - 야마시타초 미개통 구간이 미나토미라이선 계획 구간과 겹치게 되어, 해당 구간의 계획은 폐지되었다.[13]

1호선의 다치바역 서쪽 연장은 당초 초고 가이도를 따라 초고역 부근까지 계획되었다. 이는 당시 오다큐 전철 오다큐 에노시마선의 초고역 이용객이 많고 우등 열차가 정차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초고역 주변의 반대 운동으로 계획이 변경되어, 인근 쇼난다이역으로 연장되었다. 쇼난다이 연장 계획 확정 초기에는 현재의 다치바역과 시모이다역 사이에 역 신설 계획도 있었으나 무산되었다. 예정 부지는 현재 이즈미 변전소 및 공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3호선의 미쓰자와시모초역 - 기시네코엔역 구간은 당초 민유지 아래를 직선으로 통과할 예정이었으나, 요코하마 시전 노선과 유사한 미쓰자와카미초 - 가타쿠라초 루트로 변경되어 도로 아래를 최대한 통과하도록 우회 건설되었다. 표면적으로는 주택가 지하 통과에 따른 소음 우려를 고려한 것이었지만, 실제로는 로쿠카쿠바시 상점가 관계자들이 쇼핑객 유출을 우려한 반대 운동[14]이나 병행하는 도큐 도요코선을 운영하는 도쿄 급행 전철(현 도큐 전철)의 견제 때문이었다는 시각도 있다.[15] 그럼에도 민유지 지하를 통과하는 구간은 소음 대책으로 바라스트 궤도로 건설되었다.

1984년 6량 편성 운행을 시작했고, 1985년 3월 신요코하마역까지 개통되었으나, 토카이도 신칸센 환승객은 예상보다 많지 않았다. 비교적 가까운 시즈오카현 동중부에서 요코하마 시가지로의 지하철 환승은 늘었지만, 하마마쓰역 이서(특히 주쿄권, 간사이권)에서 오는 승객들은 요코하마 시내까지 유효한 JR 승차권을 가지고 있어 추가 운임이 없는 요코하마선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3호선 등 후기 개통 구간의 터널은 NATM 공법이 많이 사용되어, 제3궤조 방식 지하철임에도 터널 천장이 높은 곳이 많다. 후지사와 시내 구간은 민유지 지하 통과를 피하기 위해 상단에 본선, 하단에 소테쓰 이즈미노선이 지나는 2단식 터널로 건설되었다. 또한 쇼난다이역은 소테쓰 이즈미노선의 구라미역·히라쓰카 방면 연장 계획을 고려하여, 오다큐 전철 오다큐 에노시마선 쇼난다이역 서쪽 지하 3층에 소테쓰 이즈미노선, 동쪽 지하 2층에 이 노선이 배치되었다.

고호쿠 뉴타운 계획 진전과 4호선(그린라인) 계획 재검토 등으로 4호선과의 환승역은 센터키타역과 센터미나미역으로 결정되었고, 4호선은 남쪽의 나카야마역으로 향하게 되면서 3호선이 대신 모토이시카와까지 연장하게 되었다. 종점 위치에 대해 도큐 측은 다마프라자역을 강력히 희망했으나, 요코하마시는 시 예산으로 도쿄 방면 접근성을 높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이유 등으로 1977년 개업한 아자미노역을 고수했다. 1981년 지역 주민들이 1만 명의 서명을 받아 다마프라자역 접속을 요청했지만, 시의회는 만장일치로 기각했다.[16] 결국 3호선 종점은 아자미노역이 되었으나, 개통 후 오랫동안 도큐 덴엔토시선의 급행 열차가 정차하지 않아 환승에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요코하마시의 요청으로 2002년 3월 28일 다이어 개정부터 급행(2007년 4월 5일부터는 준급도)이 정차하게 되어 개선되었다.

신하 - 아자미노역 구간은 지하 고속 철도가 아닌 '''뉴타운 철도''' 정비 사업 보조금을 받아 건설되었다.

4. 운행 형태

후지사와시 북부의 쇼난다이역에서 출발하여 요코하마시 서부(이즈미구 남부, 도쓰카역, 고난구 중심부, 가미오오카역, 미나미구 중심부)를 거쳐 요코하마 도심인 이세자키초, 간나이, 사쿠라기초, 요코하마역을 지나 시 북부를 종단하여 아자미노역에 이르는 노선이다. 1호선과 3호선을 합한 노선 연장은 도영 지하철 오에도선에 이어 일본 지하철 중 두 번째로 길다.

도쿄 지하철의 긴자선, 마루노우치선과 함께 간토 지역에서 제3궤조 방식을 채택한 노선이다. 블루 라인 개통 이후 일본에서 새로 건설된 지하철 노선 중 제3궤조 방식을 채택한 사례는 없으며, 1972년 개통 이래 블루 라인이 마지막이다.

1972년 개통 당시부터 수도권에서는 드물게 자동 개찰기를 모든 역에 도입했으며, 2000년대에는 전 역에 홈 도어 설치를 완료했다. 이는 제3궤조 방식으로 인한 감전 위험과 선로 추락 시 위험성을 고려한 조치이다. 보안 장치로는 개통 시부터 자동 열차 제어 장치(ATC)를 사용하고 있으며, 개통 전인 1972년에는 자동 열차 운전 장치(ATO)를 이용한 자동 운전 시험 주행도 실시되었으나[12] 당시 실용화되지는 못했다.

이 노선은 1965년 발표된 요코하마시 6대 사업의 일환으로 계획되었다. 요코하마시의 교통 골격을 형성하고, 교외부와 구 시가지 간의 연결을 강화하며, 고호쿠 뉴타운 개발을 촉진하고, 시내 교통 수송력을 증강하며, 요코하마 도심부(사쿠라기초·간나이 주변)의 도시 재개발을 지원하는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때문에 요코하마 도심을 통과하며 요코하마역에서는 가나가와구 중앙부, 신요코하마, 고호쿠 뉴타운을 거쳐 아오바구아자미노역까지 이어지는 "ㄱ자형" 노선 형태를 띠게 되었다. 블루 라인은 요코하마 시내 여러 지역 간 이동 편의성을 높여 인구 분포의 균형과 시역 일체화에 기여하고 있다.

가나가와현 동부에 역을 둔 여러 철도 회사 노선과 접속하여 환승 기능을 수행한다. JR 동일본, JR 도카이, 사가미 철도, 게이힌 급행 전철, 도큐 전철, 요코하마 고속 철도, 오다큐 전철 노선과 연결된다. JR 노선과는 토카이도선, 요코스카선, 쇼난 신주쿠 라인, 게이힌토호쿠선, 요코하마선, 도카이도 신칸센 등으로 환승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전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가 많지만, 일부 구간만 운행하는 열차도 있다. 운행 등급으로는 쾌속과 보통이 있으며, 2015년부터 쾌속 운행을 시작했다. 또한 2007년부터 1인 승무를 실시하고 있다.[52]

요코하마시 교통국은 관광객을 위해 "미나토 부라리 티켓"을 판매하고 있다. 이 티켓은 블루 라인 일부 구간(요코하마역·다카시마초역·사쿠라기초역·간나이역·이세자키초자마치역·반도바시역·요시노초역) 1일 승차권과 요코하마 도심 관광지를 순환하는 버스 "아카이쿠츠" 1일 승차권 기능을 겸한다. 또한 신칸센 이용객을 위해 신요코하마역에서도 승하차가 가능한 "미나토 부라리 티켓 와이드"도 판매하고 있다.

4. 1. 쾌속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블루 라인의 쾌속 열차는 2015년 7월 18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쾌속 운행 구간은 도쓰카역닛파역 사이이며, 이 구간 내에서는 도쓰카역, 가미나가야역, 가미오오카역, 간나이역, 사쿠라기초역, 요코하마역, 신요코하마역, 닛파역에만 정차한다. 이는 주로 환승역과 차량기지가 있는 가미나가야역, 닛파역에 정차하는 방식이다. 쇼난다이역에서 도쓰카역까지, 그리고 닛파역에서 아자미노역까지의 구간은 모든 역에 정차한다. 쾌속 열차가 역을 통과할 때는 경고 멜로디(아자미노 방면: "스즈란", 쇼난다이 방면: "오늘도 기분 좋게")가 울린다.[47]

쾌속 열차의 운행 시간대는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토요일 및 공휴일은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8시 30분까지이다. 토요일 및 공휴일의 운행 시간은 2017년 3월 4일부터 기존 오후 4시 30분에서 오후 8시 30분까지로 연장되었다.[37] 운행 간격은 기본적으로 30분이며, 시간당 2편성 운행된다(일부 시간대 제외). 모든 쾌속 열차는 쇼난다이역아자미노역 전 구간을 운행한다.

낮 시간대 1시간당 운행 횟수
종별\역명쇼난다이오도리바신하아자미노
운행 구간쾌속2편
보통4편
2편colspan="3" style="background-color:white" |
colspan="3" style="background-color:white" |2편



모든 쾌속 열차는 보통 열차와의 환승 편의를 위해 완급 결합 운행을 한다. 양방향 모두 가미나가야역에서는 오도리바역에서 출발하거나 도착하는 보통 열차와 접속하고, 닛파역에서는 쇼난다이행 쾌속 열차가 해당 역에서 출발하는 보통 열차와, 아자미노행 쾌속 열차는 해당 역에 종착하는 보통 열차와 연계된다.

쾌속 열차를 이용하면 쇼난다이역에서 아자미노역까지 전 구간 소요 시간이 보통 열차(69분)보다 9분 단축된 60분이다. 도쓰카역에서 간나이역까지는 17분, 요코하마역에서 신요코하마역까지는 정차 없이 8분이 소요된다.[48]

차량의 행선 안내 표시나 역 구내 안내에서는 쾌속 열차를 적색으로 표시한다.

제3궤조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지하철 노선에서 쾌속과 같은 우등 열차를 운행하는 것은 일본에서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블루 라인이 최초이며, 현재까지 유일한 사례이다.

4. 2. 보통

기본적으로 1호선(간나이역 - 쇼난다이역)과 3호선(간나이역 - 아자미노역)을 상호 직통 운행하지만, 아자미노역 - 신요코하마역 구간이나 쇼난다이역 - 가미나가야역 구간 등 일부 구간만 운행하는 열차도 있다.

낮 시간대에는 30분당 쇼난다이역 - 아자미노역 간을 운행하는 쾌속 열차 1편과 보통 열차 1편, 오도리바역 - 아자미노역 간 보통 열차 1편, 쇼난다이역 - 신하역 간 보통 열차 1편이 운행된다. 이 시간대 보통 열차 중 오도리바역 발착 열차는 가미나가야역에서 쾌속 열차를 대피하고, 신하역 발착 보통 열차는 시종착역인 신하역에서 쾌속 열차와 접속하여 환승 편의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쾌속 통과역 및 나카마치다이역 - 아자미노역 구간, 나카다역 - 쇼난다이역 구간 각 역 이용객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낮 시간대를 제외하면 모든 열차가 보통 열차로 운행되며, 대부분 아자미노역 - 쇼난다이역 구간을 직통 운행한다. 하지만 이른 아침이나 심야 시간대에는 차고가 있는 신하역가미나가야역을 시종착으로 하는 열차가 다수 운행된다. 평일에는 아자미노역 - 오도리바역 구간 열차도 설정되어 있다. 그 외에도 이른 아침에 요코하마역아자미노역행 1편, 신요코하마역쇼난다이역행 1편이 있으며, 심야에는 아자미노역 - 신요코하마역 구간 열차 3편(휴일은 1편)과 쇼난다이역 - 가미오카역 구간 열차 1편이 운행된다.

또한, 평일에 1편, 토요일과 휴일에 6편 운행되는 아자미노역가미나가야역행 열차는 종착역인 가미나가야역에서 쇼난다이역행 열차로 연결 운행된다.

차량의 행선지 표시나 역 구내 안내에서는 주로 파란색이 사용되지만, 3색 LED 표시기를 사용하는 차량을 고려하여 녹색으로 표시하는 경우도 있어 색상이 통일되어 있지는 않다.

심야 운행은 2008년 섣달 그믐날 막차 운행 이후부터 설날 새벽까지 처음으로 실시되었다. 전 노선에서 6왕복 운행했으며, 이 중 1왕복은 이세자키초자마치역 - 아자미노역 구간을 왕복 운행했다.

4. 3. 1인 승무

2007년 12월 15일부터 1인 승무를 실시하고 있다.[52] 이를 위해 같은 해 2월부터 각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고, 4월부터 순차적으로 가동을 시작했다.[53] 또한, 이에 앞서 같은 해 1월 20일부터 ATO에 의한 자동 운전도 시작했다.[54]

1인 승무를 시작하기 전부터 열차 문과 스크린도어 개폐는 차장이 아닌 운전사가 운전대에 있는 버튼으로 조작했다. 스크린도어는 당초 2월부터 가동 예정이었으나 조정이 늦어져 4월 7일 아자미노역에서 처음 가동되었고, 9월 15일에는 모든 역에서 사용이 시작되었다.

스크린도어 가동 초기에는 발차 시 차장이 호루라기를 불지 않고 차량에 비치된 승차 촉진 방송을 발차 신호로 사용했다. 그러나 1인 승무를 위해 발차 사인음이 도입되었고, 같은 해 11월경부터 각 역에서 순차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그린 라인도 동일한 발차음을 사용한다. 한편,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홈 구장인 요코하마 스타디움과 가장 가까운 간나이역에서는 베이스타즈 응원가인 '뜨거운 별들이여'를 발차 멜로디로 사용했으며(2022년 2월 1일까지 사용 후 일반 멜로디로 변경), 요코하마 F. 마리노스의 홈 구장인 요코하마 국제 종합 경기장 (닛산 스타디움)과 가장 가까운 신요코하마역에서는 F. 마리노스의 응원가를 발차 멜로디로 사용하고 있다.

5. 차량

3000형과 4000형 전동차가 운행되고 있다. 1985년 이후 모든 열차는 6량 편성으로 운행하며, 쇼난다이 방면이 1호차, 아자미노 방면이 6호차이다. 원맨 운전 실시에 따라 한때 블루 라인의 모든 차량이 3000형으로 통일되었으나, 2022년 5월부터 4000형이 도입되었다.

차량 번호는 천의 자리 숫자로 형식을 나타내고, 일의 자리 숫자는 연결 위치(쇼난다이 방면이 1)를 나타낸다. 백의 자리와 십의 자리 숫자는 형식과 관계없이 도입 순서대로 01부터 부여되는 일련번호이다. 폐차된 차량의 번호는 결번 처리된다.


  • '''3000형''' (1992년 ~ 현재)
  • : 2016년 4월 1일 기준으로, 가미나가야 차량기지에 37개 편성의 6량 고정 편성 3000형 전동차가 배치되어 운행하고 있다.[1] 도입 시기에 따라 5가지 종류로 나뉜다.
  • * 3000A형 (1차분, 8개 편성): 24~31편성[1]
  • * 3000N형 (2차분, 7개 편성): 32~38편성[1]
  • * 3000R형 (3차분, 14개 편성): 39~52편성[1]
  • * 3000S형 (4차분, 8개 편성): 53~60편성. 운행 종료된 2000형의 대차 및 부품을 일부 재사용하였다.[1]
  • * 3000V형 (5차분, 1개 편성): 2017년 4월 9일 운행 시작.[2] 출입문 상단 안내 표시기가 액정 디스플레이(LCD)로 변경되었고, 차량 측면과 전면 행선 표시기가 풀컬러 LED로 개선되었다. 3000R형(3차분) 이후의 모든 편성에도 액정 차내 안내 표시기와 풀컬러 LED 행선 표시기가 설치되어 있다(2023년 4월 현재, 2차분(3000N형)에는 모든 차량에 액정 차내 안내 표시기가 설치되지 않았다). 1차분(3000A형) 교체를 위해 3000V형 2차 도입이 계획되었으나, 1개 편성만 도입되고 후속 차량은 4000형으로 변경되었다.

  • '''4000형''' (2022년 ~ 현재)
  • : 2022년 5월 2일부터 운행을 시작했으며, 2023년까지 총 8개 편성을 도입할 예정이다.[4][44][57] 가와사키 중공업(현 가와사키 차량)에서 제조되었다.[58] 원래 3000V형 2차분으로 수주되었던 차량이다.


3000N형(2차분)


4000형

5. 1. 과거 차량


  • 1000계: 14개 편성 × 6량으로 구성되었으며, 1972년 12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운행하였다.
  • 2000계: 9개 편성 × 6량으로 구성되었으며, 1984년부터 2006년 11월까지 운행하였다.

2004년 3월의 2000계 15편성

6. 역 목록

요코하마선 (JH16)
도큐 신요코하마선 (SH01)
소테쓰 신요코하마선 (SO52)B24기시네코엔岸根公園일본어12.5|B23가타쿠라초片倉町일본어13.7|요코하마시가나가와구B22미쓰자와카미초三ツ沢上町일본어15.6|B21미쓰자와시모초三ッ沢下町일본어16.5|B20요코하마横浜일본어17.9●도카이도 본선 (JT05)
요코스카선 (JO13)
게이힌-토호쿠선 (JK12)
요코하마선 (JK12)
네기시선 (JK12)
게이큐 본선 (KK37)
도큐 도요코선 (TY21)
사가미 철도 본선 (SO01)
미나토미라이선 (MM01)요코하마시니시구B19다카시마초高島町일본어18.8|B18사쿠라기초桜木町일본어20.0●네기시선 (JK11)요코하마시나카구B17간나이関内일본어20.7●네기시선 (JK10)B16이세자키초자마치伊勢佐木長者町일본어21.4|B15반도바시阪東橋일본어22.3|요코하마시미나미구B14요시노초吉野町일본어22.8|B13마이타蒔田일본어23.9|B12구묘지弘明寺일본어25.0|B11가미오오카上大岡일본어26.6●게이큐 본선 (KK44)요코하마시고난구B10고난추오港南中央일본어27.7|B09가미나가야上永谷일본어29.4●B08시모나가야下永谷일본어30.7|B07마이오카舞岡일본어31.4|요코하마시도쓰카구B06도쓰카戸塚일본어33.0●도카이도 본선 (JT06)
요코스카선 (JO10)
쇼난-신주쿠 라인 (JS10)B05오도리바踊場일본어34.7●요코하마시이즈미구B04나카다中田일본어35.6●B03다테바立場일본어36.7●B02시모이다下飯田일본어38.8●B01쇼난다이湘南台일본어40.4●오다큐 전철 에노시마선 (OE09)
사가미 철도 이즈미노선 (SO37)가나가와현 후지사와시

7. 디자인

역사 및 역 구내는 지역 특성이나 자연 환경 등을 형상화한 디자인이 적용되어 있으며, 출입구와 지상역의 역사 디자인에도 공을 들였다. 또한, 한때 1호선의 노선 색이 노란색이었던 흔적으로 천장부나 역명판, 의자 등 각 부분에 노란색이 사용된 곳이 있다.

지하철 차량을 형상화한 기타신요코하마역 역사


실루엣이 대칭을 이루는 센터키타역 2번 출구 (역사 북측)


실루엣이 대칭을 이루는 센터미나미역 1번 출구 (역사 남측)


고양이 귀 모양의 천창이 있는 오도리바역 1번 출입구


계급장의 삼선과 배의 둥근 창문으로 장식된 요시노초역 4번 출입구


초대 요코하마역 역사를 본뜬 벽돌색 타일의 칸나이역 7번 출입구


바퀴 모양을 형상화한 반원형의 다카시마초역 1번 출입구

7. 1. 공공 미술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블루 라인의 많은 역에는 부조, 조각, 벽화와 같은 공공 미술 작품이 설치되어 있다. 각 작품의 상세 정보는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71][72][73]

7. 1. 1. 설치된 공공 미술 목록

대부분의 역에는 부조, 조각, 벽화 등의 공공 미술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1기, 제2기 개업의 가미오오카, 간나이역, 요코하마역에 관해서는 고속 철도 건설 기술 협의회 제2 소위원회(통칭 디자인 위원회)의 멤버인 디자이너 아와즈 기요시 · 야나기 소리가, 그 외의 제3기 이후에 개업한 역의 부조, 조각에 관해서는 현대 예술가가 제작하고 있다. 또한 센터키타역의 2곳의 벽화는 2008년에 요코하마 시에서 제4회 아프리카 개발 회의가 열렸을 때 "1역 1국 운동"이 개최되어 센터 기타 역이 앙골라 공화국을 담당하게 된 것으로부터 기증된 것이다[71][72]

아래 표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가미나가야역, 고난추오역, 구묘지 - 반토바시 간, 사쿠라기초역, 다카시마초역 각 역에는 공공 미술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예술 작품 목록[73]
역명작품명작가테마기증자비고
쇼난다이컴포지션 교통과 거리모치즈키 나오토일본 복권 협회
시모이이다싹트는 공간다카하시 히로시식물의 싹
다테바JOY OF LIFE루이 프랑센풍요로운 자연 환경 · 활기
나카타무지개 날개쿠도 하루야미래로의 발전
오도리바바람 ―움직임과 빛―Tim Prentice민화 "고양이의 오도리바"모빌로서 천장에 설치. ※철거됨
도쓰카가시오의 채색구츠이 도코가시오강-
도카이도 오십삼차 도쓰카 모토마치 별도우타가와 히로시게도쓰카 숙소도쓰카구 제50주년 · 지하철 도쓰카역 개통 기념(본 개업)으로, 1989년 8월에 설치. 우키요에는 초기판(말을 탄 사람이 내리려고 하는 모습의 것. 후기판에서는 말에 타려고 하는 모습으로 교체됨)을 사용.
마이오카태양과 지하철H. Takeo전원 · 지하철
시모나가야해바라기H. Takeo고난구의 꽃
가미오오카은의 바다에 금의 거북아와즈 기요시요코하마항한때는 게이큐 연락 개찰구 부근에 설치되어 있었지만, 현재는 버스 터미널 개찰구 부근으로 이전되어 있다[74]
고난구의 심볼 마크와 마스코트요코하마시 고난구청고난구의 심볼 마크 · 마스코트 캐릭터요코하마시 고난구청 · 요코하마시 교통국고난구의 심볼 마크 · 마스코트 캐릭터를 대형 타일에 인쇄한 것. 역사 개량 공사 완성 기념으로, 1997년 3월에 설치.
사랑과 희망고난구에서 태어난 아기 289명의 손도장을 대형 타일로 만든 것. 역사 개량 공사 완성 기념으로, 1997년 3월에 설치.
이세자키초자마치불명요코하마시 고속 철도의 표장-요코하마시영 지하철의 심볼 마크를 모자이크 타일로 그린 것. 1~4호선의 악센트 컬러로 정해진 모든 색상이 사용되고 있다. 계단에 설치.
요코하마의 시요코하마시 도시 디자인실요시다강 다리오도리 공원 · 지하철 건설에 따라 매립된 요시다강 · 신요시다강에 걸려 있던 다리의 명판을 부조로 만든 것. 콩코스에, 1981년 10월에 설치.
간나이亞墨利加蒸氣舩우타가와 요시카즈요코하마항-
요코하마항구의 정령야나기 소리요코하마항 · 요코하마 베이브릿지※설치 장소에 점포가 생겼기 때문에 철거.
불명요코하마시 고속 철도의 표장요코하마시영 지하철의 심볼 마크를 모자이크 타일로 그린 것. 직통 운전을 하는 1 · 3호선의 악센트 컬러가 사용되고 있다. 지하 1층의 계단, 2곳에 설치.
미쓰자와카미초미쓰자와 공원요코하마시 교통국미쓰자와 공원플랫폼상의 수갱 벽면에 설치.
※터널 보수로 칠해짐
미쓰자와시모초조개 무덤미쓰자와 조개 무덤
가타쿠라마치태양과 전원전원 풍경 · 장래를 향해 발전하는 거리
기시네 공원연못과 작은 동료들기시네 공원의 시노하라 연못
신요코하마바다 · 항구와의 조화국제 항도 · 요코하마 베이브릿지 · 요코하마시의 자매 도시 · 국제 친선바닥에 세계 지도 · 자매 도시의 문장을 그린 타일도 설치.
기타신요코하마투명한 빛과 그림자조경희시세이도개업 당시 시세이도 리서치 센터가 있었던 인연으로 기증되었다.
닛파이브의 모든 것미즈타니 타다히로요코하마 조각전 출품 작품버스 터미널 쪽에 금속 부조로 설치.
나카마치다이AURORA (GREEN RENAISSANCE)하마노 쿠니아키동상으로 설치.
반으로 깎인 두꺼운 고리나카츠가와 토쿠아키
센터미나미플레이 더 글라스 센프리체마스다 히로미미나미타 워크 쪽에 유리 부조로 설치. 닛파역에서 이전.
센터키타무제Matondo Alberto, Don SebCassule, Lòzè, N'tangu우호의 증표앙골라 공화국출입구 · 계단 옆의 2곳에 벽화를 설치.
나카가와모이는 사람들레이코마 무조요코하마 조각전 출품 작품석상으로 설치.
아자미노아이들 미래로타카베 타에코요코하마 신용금고벽화 앞은 행사 판매에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간나이역에 설치된 타일 그림


미쓰자와카미초역의 부조의 흔적

8. 연장 계획



1965년 초기 구상안에서는 다음 두 노선 계획이 제시되었으며, 신요코하마역고호쿠 뉴타운과 시 중심부를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3]

# 에다 부근 - 쓰나시마 부근 - 쓰루미 부근[13]

# 쓰나시마 부근 - 신요코하마 부근 - 요코하마 부근 - 사쿠라기초·간나이 부근 - 도쓰카 부근 - 초고 부근[13]

1966년 요코하마시 도시 교통 심의회는 이 계획안을 거의 그대로 답신했고, 이를 바탕으로 계획이 추진되었다.[13] 이후 "요코하마를 중심으로 하는 여객 수송력의 정비 증강 계획 시안"에서는 가나가와신마치 부근에서 시영 지하철과 게이큐 본선을 연결하는 방안이 포함되었고,[13] 계획 범위가 확장되어 다음 4개 노선이 같은 해 가결되었다.[13]



1970년까지 긴급 정비 구간으로 1호선(미나토초 - 가미오카)과 3호선(기타코초 - 야마시타초) 일부가 지정되었고, 간나이가 분기점으로 정해졌다.[13] 그러나 1975년, 항만 업계는 지하철 공사로 인한 간나이 주변 교통 체증이 항만 컨테이너 수송에 지장을 준다며 착공 연기를 요청했다.[13] 시는 이를 받아들여 1989년까지 계획을 연기하고, 요코하마 베이 브리지와 수도고속 가나가와 1호 요코하네선 완공을 기다리기로 했다.[13] 이 기간 동안 미나토미라이 21 지구 재개발이 진행되면서, 1호선의 간나이 - 야마시타초 구간 계획이 미나토미라이선 계획과 겹쳐 폐지되었다.[13]

1호선의 서쪽 연장은 당초 초고 가이도를 따라 초고까지 계획되었다. 당시 오다큐 에노시마선 초고는 이용객이 많고 우등 열차도 정차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초고 주변의 반대 운동으로 계획이 변경되어, 인근 쇼난다이로 연장되었다. 연장 계획 확정 초기에는 현재의 다치바와 시모이다 사이에 역 신설 계획도 있었으나 취소되었고, 예정지는 현재 이즈미 변전소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3호선의 미쓰자와시모초 - 기시네코엔 구간은 당초 민유지 아래 직선 경로였으나, 요코하마 시전 노선과 유사한 미쓰자와카미초 - 가타쿠라초 루트로 변경되어 가능한 한 도로 아래를 통과하도록 우회 건설되었다. 표면적으로는 주택가 소음 우려에 대한 배려였지만, 실제로는 로쿠카쿠바시 상점가의 반대[14]나 병행 노선을 운영하는 도쿄 급행 전철(현 도큐 전철)의 영향력 행사라는 시각도 있다.[15] 그럼에도 민유지 아래를 통과하는 구간은 소음 대책으로 바라스트 궤도로 건설되었다. 3호선 등의 나중에 개통된 구간의 터널은 NATM 공법이 많이 사용되었다.

후지사와 시내를 통과하는 구간은 민유지 통과를 피하기 위해 상단에 본선, 하단에 소테쓰 이즈미노선이 지나가는 2단식 터널로 건설되었다. 또한 쇼난다이에서는 소테쓰 이즈미노선의 구라미·히라쓰카 방면 연장 계획을 고려하여, 오다큐 전철 오다큐 에노시마선 쇼난다이역 서쪽 지하 3층에 소테쓰 이즈미노선, 동쪽 지하 2층에 본 노선이 배치되었다.

고호쿠 뉴타운 계획 진전과 4호선(그린라인) 계획 재검토로, 4호선과의 환승역은 센터키타와 센터미나미로 결정되었다. 4호선이 남쪽 나카야마역으로 향하게 되면서, 3호선이 대신 모토이시카와까지 연장하게 되었다. 연장 종점 위치를 두고 도큐 측은 다마프라자를 강하게 원했지만, 요코하마시는 시 예산으로 도쿄 방면 접근성 향상을 돕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이유 등으로 1977년 개업한 아자미노를 고수했다. 1981년 지역 자치회가 1만 명 서명으로 다마프라자역 접속을 요청했지만 시의회는 만장일치로 기각했다.[16] 결국 3호선 종점은 아자미노가 되었으나, 개통 후 오랫동안 도큐 덴엔토시선 급행열차가 정차하지 않아 환승이 불편했다. 이후 요코하마시의 요청과 후지가오카역 공사 완료 후, 2002년 다이어 개정으로 급행(후에 준급 포함)이 정차하게 되어 개선되었다.

신하 - 아자미노 구간은 '''뉴타운 철도'''로서 보조금을 받아 건설되었다.

지하철 건설 목적 중 하나는 요코하마시 교외 개발 촉진이었으나, 일부 역 주변은 여전히 시가화 조정 구역으로 남아 있다. 인구 밀도가 높은 요코하마시에서 지하철이 개통된 지역의 토지 고도 이용을 위해 조속한 구획 정리와 시가지 편입이 과제로 남아있다.

참조

[1] 서적 Kotsu Shimbunsha 2016-07-25
[2] 간행물 Koyusha Co., Ltd. 2017-07
[3] 웹사이트 横浜市営地下鉄ブルーラインに4000形を導入 https://railf.jp/new[...] Koyusha Co., Ltd. 2021-12-26
[4] 웹사이트 横浜市営地下鉄ブルーライン「4000形」2022年5月2日運行開始 https://www.hamakei.[...] 2022-05-03
[5] 웹사이트 http://www.asahi.com[...] The Asahi Shimbun Company 2015-02-14
[6] 웹사이트 横浜市営地下鉄ブルーラインの延伸「あざみ野~新百合ヶ丘」概略ルート・駅位置が決定しました! https://www.city.yok[...] 2023-03-20
[7] 웹사이트 川崎市:事業計画の概要 https://www.city.kaw[...] 2023-03-20
[8] 웹사이트 3号線延伸取組状況 https://www.city.yok[...] 2023-03-20
[9] 웹사이트 ブルーライン乗降車人員/最新掲載 https://www.city.yok[...] 横浜市 2024-07-27
[10] 서적 サインシステム計画学 鹿島出版会 2013-09
[11] 서적 京浜東北線100年の軌跡 JTBパブリッシング
[12] 간행물 列車自動運転の最近の動向 https://www.hitachih[...] 日立製作所 1972-08
[13] 웹사이트 横浜市営地下鉄関内駅に2番線と4番線しかないのはなぜ? https://hamarepo.com[...] はまれぽ.com 2013-09-25
[14] 웹사이트 六角橋商店街が、地下鉄駅の建設誘致に反対したって噂は本当? http://hamarepo.com/[...] はまれぽ.com 2012-10-04
[15] 서적 大前研一の新・国富論 講談社 1986
[16] 문서 多摩田園都市:開発35年の記録 https://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1988-10-31
[17] 뉴스 きのう営業を開始 交通協力会 1976-09-05
[18] 간행물 トピック・フォト 横浜市2000形営業運転開始 電気車研究会
[19] 뉴스 横浜市営地下鉄 きょう延長開業 交通協力会 1985-03-14
[20] 간행물 鉄道ジャーナル社 1987-08
[21] 간행물 横浜市営地下鉄1000形に冷房改造車登場 交友社
[22] 간행물 横浜市営地下鉄1000形が歩んだ34年 鉄道図書刊行会
[23] 서적 横浜市営交通八十年史 横浜市交通局
[24] 보도자료 開業に向けて着々と進む戸塚~湘南台 8月29日開業 http://www.city.yoko[...] 横浜市交通局電車部管理課 2022-05-28
[25] 간행물 電気車研究会 1998-11
[26] 보도자료 地下鉄に女性専用車両を試行導入します! - より安心してご利用いただける地下鉄をめざして - http://www.city.yoko[...] 横浜市交通局交通局電車部運輸サービス課 2003-02-12
[27] 보도자료 女性専用車両を本格導入します ~より安心してご利用いただける地下鉄をめざして~ http://www.city.yoko[...] 横浜市交通局電車部 2021-08-15
[28] 보도자료 平成15年12月1日(月)から 横浜市営地下鉄は全席を優先席にします! http://www.city.yoko[...] 横浜市交通局電車部営業課 2021-08-15
[29] 간행물 鉄道記録帳2003年12月 鉄道友の会 2004-03-01
[30] 보도자료 地下鉄の路線の名前が決まりました あざみ野~湘南台間はブルーライン 中山~日吉間はグリーンライン http://www.city.yoko[...] 横浜市交通局高速鉄道建設部計画課 2021-08-15
[31] 보도자료 さよなら1000形 ありがとう2000形 http://www.city.yoko[...] 横浜市交通局電車部営業課 2021-08-15
[32] 보도자료 踊場駅と下飯田駅の電車停止位置変更のお知らせ http://www.city.yoko[...] 横浜市交通局電車部運輸サービス課 2022-05-15
[33] 보도자료 横浜市営地下鉄のホームドア 順次運用開始!! http://www.city.yoko[...] 横浜市交通局電車部電気課 2021-08-15
[34] 보도자료 ホームドアの使用開始時期 http://www.city.yoko[...] 横浜市交通局電車部電気課 2021-08-15
[35] 보도자료 市営地下鉄車内に「ゆずりあいシート」を設置します http://www.city.yoko[...] 横浜市高速鉄道本部営業課・技術管理部車両課 2021-08-15
[36] 웹사이트 横浜市営地下鉄ブルーラインで快速列車の運転開始 http://railf.jp/news[...] 2015-07-19
[37] 간행물 3月4日(土)ダイヤ改正 市営地下鉄ブルーライン 土休日 快速運転時間帯の拡大 https://www.city.yok[...] 横浜市交通局運転課 2017-01-30
[38] 간행물 横浜市営地下鉄ブルーライン「あざみ野〜新百合ヶ丘」を延伸へ! 〜事業を推進するため、横浜市と川崎市で相互に連携・協力します〜 https://www.city.yok[...] 横浜市都市整備局都市交通課/横浜市交通局建設改良課/川崎市まちづくり局交通政策室 2019-01-23
[39] 간행물 市営地下鉄ブルーラインの脱線について https://www.city.yok[...] 横浜市交通局電気課 2019-06-06
[40] 뉴스 横浜市営地下鉄で脱線=けが人なし、工事用装置乗り上げ https://www.jiji.com[...] 時事通信社 2019-06-06
[41] 뉴스 全脱線車両、引き上げ完了も 全線再開いまだめど立たず https://www.kanaloco[...] 神奈川新聞社 2019-06-09
[42] 간행물 市営地下鉄ブルーライン不通区間の運行再開について https://www.city.yok[...] 横浜市交通局電気課 2019-06-10
[43] 간행물 ブルーライン踊場駅引込線でのオーバーランによる車両損傷について https://www.city.yok[...] 横浜市交通局運転課 2019-08-29
[44] 간행물 ブルーライン新型車両4000形 営業運行開始日決定!& 試乗・見学ツアー開催 https://www.city.yok[...] 横浜市交通局技術管理部車両課/一般財団法人横浜市交通局協力会 2022-03-29
[45] 간행물 市営地下鉄の全駅でクレジットカードやデビットカード等のタッチ決済による乗車サービスを開始します! https://www.city.yok[...] 横浜市交通局高速鉄道本部営業課 2024-11-27
[46] 뉴스 あざみ野-新百合、延伸へ 横浜市営地下鉄30年ごろ開業 http://www.kanaloco.[...] 神奈川新聞社 2019-01-01
[47] 웹사이트 横浜市営地下鉄「ブルーライン」接近メロディ https://blog.goo.ne.[...] 2015-07-29
[48] 간행물 市営地下鉄ブルーライン 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city.yoko[...] 横浜市交通局
[49] 뉴스 市営地下鉄ブルーラインに「急行」、14年度運行目指す/横浜 http://news.kanaloco[...] 2012-06-05
[50] 뉴스 横浜市営地下鉄の快速電車、停車駅は上大岡など18駅 http://www.kanaloco.[...] 2015-02-03
[51] 간행물 横浜のまちとまちを結ぶ 市営地下鉄がさらに便利に! 7月18日(土)市営地下鉄ブルーライン 快速運転開始! https://www.city.yok[...] 横浜市交通局運転課 2015-05-13
[52] 간행물 市営地下鉄 ワンマン運転開始 ~ワンマン運転に向け さらに安全対策に努めます~ http://www.city.yoko[...] 横浜市交通局高速鉄道本部運輸サービス課 2007-11-22
[53] 간행물 市営地下鉄全駅にホームドアを設置します http://www.city.yoko[...] 横浜市交通局電車部電気課 2006-12-01
[54] 간행물 ATO運転開始のお知らせ http://www.city.yoko[...] 横浜市交通局電車部運輸サービス課
[55] 웹사이트 資料3:都市部の路線における最混雑区間の混雑率(2021)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鉄道局都市鉄道政策課 2022-07-22
[56] 문서 都市交通年報
[57] 간행물 横浜市営地下鉄ブルーラインに新型車両登場! https://www.city.yok[...] 横浜市交通局車両課 2021-12-13
[58] 간행물 横浜市交通局向け地下鉄電車を受注 https://www.khi.co.j[...] 川崎重工業 2018-10-11
[59] 문서 踊場駅の駅施設の一部は戸塚区に位置する。
[60] 문서 阪東橋駅のホームの一部および駅施設の一部は南区に位置する。
[61] 뉴스 地下鉄3号線延伸 事業化に向け14年度予算に計上へ/横浜市 http://news.kanaloco[...] 2014-01-28
[62] 웹사이트 日本一長い地下鉄に、横浜から川崎へ延伸調査着手 http://kenplatz.nikk[...]
[63] 웹사이트 横浜市、ブルーライン新百合ヶ丘延伸の調査に着手へ http://response.jp/a[...] 2014-07-28
[64] 웹사이트 横浜市営地下鉄に快速 新百合ケ丘への延伸は… https://style.nikkei[...] 日経BP社 2015-07-17
[65] 웹사이트 市営地下鉄グリーンラインの延伸計画は、その後どうなった? http://hamarepo.com/[...]
[66] 뉴스 横浜市営地下鉄 小田急線「新百合ヶ丘」まで延伸へ https://www3.nhk.or.[...] 2019-01-23
[67] 웹사이트 高速鉄道3号線(横浜市営地下鉄ブルーライン)の延伸 「あざみ野〜新百合ヶ丘」に関する 説明会のお知らせ http://www.city.kawa[...] 横浜市/川崎市 2019-07
[68] 웹사이트 高速鉄道3号線(横浜市営地下鉄ブルーライン)の延伸「あざみ野〜新百合ヶ丘」に関する説明会の開催概要 横浜市/川崎市
[69] 간행물 横浜市営地下鉄ブルーラインの延伸「あざみ野〜新百合ヶ丘」 概略ルート・駅位置が決定しました! https://www.city.yok[...] 横浜市都市整備局都市交通課/横浜市交通局建設改良課/川崎市まちづくり局交通政策室 2020-01-21
[70] 뉴스 消えた『嶮山』の名を辿る 開発の波に押し流されて https://www.townnews[...] 2011-12-01
[71] 간행물 センター北駅「アンゴラ壁画」 紹介パネルを設置! https://www.city.yok[...] 横浜市都筑区地域振興課 2017-03-23
[72] 간행물 センター北駅2枚の壁画 https://www.city.yok[...] 横浜市都筑区地域振興課 2017-03-23
[73] 간행물 市営地下鉄 戸塚~湘南台間 新駅のレリーフ、彫刻の設置について http://www.city.yoko[...] 横浜市交通局 2022-05-15
[74] 웹사이트 かつて花街があった開発前の「上大岡」の歴史について教えて! https://hamarepo.com[...] 株式会社アイ・ティ・エー 2014-05-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